[AWS] CloudWatch RDS 향상된 모니터링 활용 지표(Metrics) 설정
Infra/Etc 2022. 4. 28. 00:18

개요 RDS를 활용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면 기본적인 지표들은 자동으로 수집된다. CPU사용량 디스크 여유공간(MB) 메모리 여유공간(MB) DB 커넥션 수 읽기, 쓰기 IOPS 하지만 메모리와 디스크의 경우 전체 공간 대비 가용 부분의 비율을 알고 싶었지만 단순히 여유공간에 대한 값만 숫자 값으로 나타내기만 가능하였고 이를 해결하려면 RDS의 Enhanced Monitoring(향상된 모니터링)기능을 켜주어야 한다. Metrics Filter 설정 RDS의 향상된 모니터링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CloudWatch에RDSOSMEtrics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로그그룹이 생성된다. 로그 스트림은 각 db마다 하나씩 생성되며 로그 이벤트는 json 형태이다. json 형태 그대로는 보기가 불편하므로 로그그룹..

[Git] SVN(Subversion)을 Git으로 이전하기
Infra/Etc 2022. 2. 11. 09:37

개요 svn을 git으로 이관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svn 레포지토리에서 author 정보 추출 → 추후 bitbucket으로 이관시 commit history를 같이 옮기기 위함 앞서 추출한 author정보를 기반으로 svn을 로컬 git에 clone (option) 브랜치, 태그 정보까지 옮기고자 한다면 추가적인 작업 필요 로컬 git의 svn에 대한 연결 끊기 로컬 git을 마이그레이션 하고자 하는 레포지토리에 push 마이그레이션 툴 다운 아래 링크에서 bitbucket 을 개발한 Atlassian사에서 제공하는 svn 마이그레이션 툴을 다운 받는다. 다운로드 : https://bitbucket.org/atlassian/svn-migration-scripts/downloads/ 다운로드 받은 ..

[OS]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란?
Infra/OS 2022. 1. 26. 17:35

하이퍼바이저란? 하이퍼바이저는 가상머신(VM)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하이퍼바이저는 OS와 가상머신의 리소스를 분리하여 VM의 생성과 관리를 도와준다.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는 하드웨어(컴퓨터)를 호스트(host)라고 부르고, 해당 호스트 위에서 동작하는 가상 머신(VM)을 게스트OS라고 한다. 유형 하이퍼바이저는 크게 Type1, Type2로 나뉜다. Type1: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는 하이퍼바이저를 의미한다.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므로 OS에 종속적이지 않다. bare-metal hypervisor라고도 불린다. 장점 하이퍼바이저에서 하드웨어 직접 제어가 가능해서 오버헤드가 적다.(리소스 관리가 편하다) 따라서 Type2에 비해서 성능이 좋다. 단점 Host는 가상화..